|
|
|
|
1912년 07월 04일 경북 대구 남산동 출생 |
학 력 |
|
1926년 9월 - 1932년 6월 |
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중등과 |
1932년 9월 - 1934년 6월 |
대구 성 유스티노 대신학교 철학과 |
1934년 9월 - 1938년 6월 |
대구 성 유스티노 대신학교 신학과 |
1954년 6월 - 1956년 5월 |
벨기에 루뱅대학교 사회학과 |
서 품 |
|
사제품 |
1938년 6월 11일 |
주교품 |
1968년 10월 7일 로마 성 베드로 성당 |
경 력 |
|
1938년 06월 12일 |
문산성당 보좌 |
1939년 05월 30일 |
진영성당 주임 |
1940년 08월 20일 |
대구 계산동성당 주임 |
1942년 07월 01일 |
충무(現 태평동)성당 주임 |
1943년 08월 30일 |
대구 유스티노 대신학교 교수 |
1945년 09월 01일 |
대구 남산동성당 주임 |
1949년 06월 10일 |
대구교구 경리부장 |
1956년 05월 31일 |
벨기에 루뱅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|
1956년 06월 01일 |
진해(現 중앙동)성당 주임 |
1957년 03월 19일 |
부산 중앙동성당 주임 |
1960년 01월 15일 |
부산교구 부주교 임명 |
1962년 10월 26일 |
부산교구 유지재단 이사 겸임 |
1963년 03월 30일 |
몬시뇰 임명 |
1968년 09월 07일 |
제2대 마산교구장 임명 |
1968년 10월 07일 |
로마에서 주교 수품 |
1968년 10월 30일 |
제2대 마산교구장 착좌 |
1989년 02월 21일 |
은퇴 |
|
|
|
|
|
|
|
|
|

|
문장
이 보람은 사회 안에 이루어지는 사제직의 본령을 표상한다.
교회는 인간 사회의 영원한 구원을 그 사명으로 한다. 인간 구원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로써 이루어지며, 이 십자가는 하느님과 인간에 대한 그리스도의 위대한 사랑의 승리의 보람이다.
이 문장의 십자가의 종선은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뜻하고 십자가의 횡선은 인간에 대한 사랑을 상징한다. 그리고 이런 헌신적인 사랑은 최후 만찬에서 사용된 빵과 술로 표현되는 하느임의 백성의 애찬으로 구체화된다.
이 애찬은 영원한 생명에 대한 기갈을 풀어주는 잔치이다. 교회의 사제직은 이 애찬과 희생으로 사회에 봉사함으로써 인간 사뢰를 구원한다. |
|
표 어
" 사랑으로 서로 봉사하자 "
|
|
|